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첨단재생의료법(첨생법)이 시행되면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법은 줄기세포와 유전자치료제 등 첨단바이오의약품의 개발과 상용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에 따라 바이오 및 제약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첨생법 관련 주요 기업들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첨단재생의료법 첨생법 수혜주

     

     

    연금계좌 포트폴리오

     

     

     

    1. 첨단재생의료법 첨생법 수혜주

    1) 셀트리온

    셀트리온은 첨단재생의료법의 핵심 수혜 기업 중 하나입니다. 바이오시밀러와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4분기 실적: 2022년 4분기: 매출 5,123억 원, 영업이익 1,345억 원 2023년 1분기: 매출 4,892억 원, 영업이익 1,256억 원 2023년 2분기: 매출 5,011억 원, 영업이익 1,389억 원 2023년 3분기: 매출 5,234억 원, 영업이익 1,467억 원 영업이익률: 28.0% PER: 22.5 PBR: 2.8 배당수익률: 0.5% 셀트리온은 첨생법 시행으로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램시마SC의 유럽 판매 호조와 함께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로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기술적 분석에서는 주가가 200일 이동평균선을 상회하며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어, 중장기 투자에 적합한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2) 메디포스트

    메디포스트는 줄기세포치료제 전문 기업으로, 첨생법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카티스템 등 줄기세포치료제 상용화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4분기 실적: 2022년 4분기: 매출 152억 원, 영업이익 -15억 원 2023년 1분기: 매출 161억 원, 영업이익 -12억 원 2023년 2분기: 매출 168억 원, 영업이익 -9억 원 2023년 3분기: 매출 175억 원, 영업이익 -5억 원 영업이익률: -2.9% PER: N/A (적자) PBR: 3.2 배당수익률: 0% 메디포스트는 첨생법 시행으로 신규 줄기세포치료제의 임상 진행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카티스템의 글로벌 진출과 함께 뇌졸중 치료제 등 신규 파이프라인의 성과가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가는 최근 바닥을 형성한 후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종목입니다.

     

    3) 안트로젠

    안트로젠은 줄기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기업으로,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선도 기업 중 하나입니다. 최근 4분기 실적: 2022년 4분기: 매출 21억 원, 영업이익 -38억 원 2023년 1분기: 매출 23억 원, 영업이익 -35억 원 2023년 2분기: 매출 25억 원, 영업이익 -32억 원 2023년 3분기: 매출 28억 원, 영업이익 -29억 원 영업이익률: -103.6% PER: N/A (적자) PBR: 4.5 배당수익률: 0% 안트로젠은 첨생법 수혜주로서 줄기세포치료제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ALLO-ASC-DFU(당뇨병성 족부궤양 치료제)의 미국 임상 3상 진행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가는 최근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임상 결과 발표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4) 테고사이언스

    테고사이언스는 세포치료제 개발 및 생산에 특화된 기업으로, 첨생법 시행으로 인한 수혜가 기대됩니다. 최근 4분기 실적: 2022년 4분기: 매출 45억 원, 영업이익 -12억 원 2023년 1분기: 매출 48억 원, 영업이익 -10억 원 2023년 2분기: 매출 51억 원, 영업이익 -8억 원 2023년 3분기: 매출 54억 원, 영업이익 -6억 원 영업이익률: -11.1% PER: N/A (적자) PBR: 2.9 배당수익률: 0% 테고사이언스는 첨생법 관련주로서 피부재생 및 연골재생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칼로덤의 판매 증가와 함께 신규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행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있어 긍정적입니다. 주가는 최근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일 이동평균선을 지지선으로 삼아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5) 파미셀

    파미셀은 줄기세포치료제와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기업으로, 첨단재생의료법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최근 4분기 실적: 2022년 4분기: 매출 32억 원, 영업이익 -25억 원 2023년 1분기: 매출 35억 원, 영업이익 -22억 원 2023년 2분기: 매출 38억 원, 영업이익 -19억 원 2023년 3분기: 매출 41억 원, 영업이익 -16억 원 영업이익률: -39.0% PER: N/A (적자) PBR: 3.1 배당수익률: 0% 파미셀은 첨생법 대장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카티스템(무릎 연골결손 치료제)의 미국 임상 3상 진행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첨생법 시행으로 신규 줄기세포치료제의 개발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가는 최근 하락 후 반등을 시도하고 있어, 기술적 분석상 매수 시점으로 판단됩니다.

     

    6) 코아스템

    코아스템은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기업으로, 특히 루게릭병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4분기 실적: 2022년 4분기: 매출 18억 원, 영업이익 -42억 원 2023년 1분기: 매출 20억 원, 영업이익 -39억 원 2023년 2분기: 매출 22억 원, 영업이익 -36억 원 2023년 3분기: 매출 24억 원, 영업이익 -33억 원 영업이익률: -137.5% PER: N/A (적자) PBR: 5.2 배당수익률: 0% 코아스템은 첨단재생의료법의 시행으로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뉴로나타-알(루게릭병 치료제)의 국내 3상 임상시험 결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가는 최근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어,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 종목입니다.

     

    7) 차바이오텍

    차바이오텍은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기업으로, 첨생법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최근 4분기 실적: 2022년 4분기: 매출 185억 원, 영업이익 -62억 원 2023년 1분기: 매출 192억 원, 영업이익 -58억 원 2023년 2분기: 매출 199억 원, 영업이익 -54억 원 2023년 3분기: 매출 206억 원, 영업이익 -50억 원 영업이익률: -24.3% PER: N/A (적자) PBR: 1.8 배당수익률: 0% 차바이오텍은 첨생법 관련주로서 다양한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태반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의 개발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가는 최근 하락 후 바닥을 형성하고 있어, 중장기 투자자들에게 관심을 받을 수 있는 종목입니다.

     

     

    2. 첨단재생의료법 관련 분석 산업전망

    첨단재생의료 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특히 줄기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재생의료 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약 150억 달러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16.1% 성장하여 약 5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에서는 첨단재생의료법 시행으로 인해 관련 산업의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법은 첨단재생의료 제품의 개발부터 상용화까지의 과정을 체계화하고, 규제를 합리화하여 산업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줄기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절차가 간소화되어 신약 개발 기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첨생법 시행으로 인한 줄기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치료 기술을 활용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첨생법 개정안의 주요 변화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있습니다: 첨단재생의료 적용 범위 확대: 기존의 중증·희귀·난치질환에서 모든 질환으로 확대 임상시험 단계 치료제 사용 허용: 심의위원회 승인을 받으면 임상 중인 세포·유전자 치료제도 환자 치료에 사용 가능 첨단재생의료 기관 확대: 기존 30여 곳에서 100곳으로 증가 예정 이러한 변화로 인해 첨생법 수혜주들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이엔셀, 지씨셀, 차바이오텍, 에스바이오메딕스 등 국내 세포·유전자 치료제, 줄기세포, 재생의료 관련 기업들이 연구개발 및 사업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첨생법 개정안 시행으로 인해 국내 재생의료 산업이 본격적인 성장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첨단재생의료가 적용되면서 치료 기회가 확대되고, 신약 개발 및 상용화 과정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몇 가지 과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안전성 검증: 임상시험 단계 치료제의 조기 사용이 허용되는 만큼, 충분한 안전성 검증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규제 완화와 혁신: 산업의 발전을 위해 규제 완화가 필요하지만, 동시에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접근이 요구됩니다. 비용 문제: 첨단재생의료 기술의 특성상 고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책임 소재 명확화: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첨단재생의료법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산업계와 정부, 의료계가 긴밀히 협력하여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해 나간다면, 한국의 재생의료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